우수논문상
2016년
- 최우수논문상
- 명시야 현미경 영상에서의 세포 분할을 위한 이중 사전 학습 기법
(이규현, 트란민콴, 정원기 (울산과학기술원 UNIST))
- 우수논문상
- · 그림자 연극 : 연속적인 실루엣으로부터 사람의 동작 찾기 (원정담, 이제희 (서울대학교))
- · 불 시뮬레이션에 대응하는 불똥 애니메이션 기법 (김태형, 홍은기, 임재호, 양도현, 김창헌 (고려대학교))
- · 가상 아바타를 통한 원격 사용자간 손 접촉 동작 생성 (오지혜, 이유진, 김연준, 진태일,
이석원, 이성희 (KAIST)) - · 효과적인 혼합현실 장면 생성을 위한 고속의 광원 추정 기법 (신승미, 서웅, 임인성 (서강대학교))
- · 부드러운 곡면을 이용한 호흡기 해부 모델의 자연스러운 형상 변형 (강윤구(서울대), 박재성(UNC-CH),
이제욱, 심민섭, 김명수(서울대) ) - · 직관적 데이터 표출을 위한 탠저블 가시화 테이블 (김종용, 박상훈 (동국대) )
- 학부우수논문상
- 몰입형 전래동화 콘텐츠 제작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연구 (정기성, 한승훈, 이동규,
김진모 (부산가톨릭대))
- 우수포스터상
- 단안카메라 기반 삼차원 입체영상 증강현실 (노승민, 이진우, 황재인, 김준호 (국민대, KIST))
- 학부우수포스터상
- AR / VR 기반 사용자 간접경험 시스템 (백희원, 피민규, 유상봉, 장윤(세종대))
2015년
- 적응형 렌즈어레이를 이용한 집적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설계
- 송민호(충북대), 이범렬(ETRI), 정지성, 권기철, 김남, 류관희(충북대)
- Field of regard 및 Field of view 측정을 위한 가상현실 패러다임 예비연구
- 장원철(한양대), 신준호(국립재활원), 김광욱(한양대)
- 입자 크기간 차이를 고려한 흙탕물 시뮬레이션
- 백승호, 엄기원, 한정현(고려대)
- 인터렉티브 리깅
- 방승배, 최병국, Roger Blanco i Ribera, 김미경, 이성희, 노준용(KAIST)
- 다중기술자와 능동형태모형을 이용한 얼굴 특징점 분석
- 김영진, 신현준(아주대학교)
- 자유형상 평면곡선의 바운딩 영역 비교
- 이제욱, 김명수(서울대)
2014년
- 컬러-깊이 영상을 이용한 빠른 실내 레이아웃 복원
- 유대훈, 전준호, 김준호, 이승용(POSTECH)
- 착용형 증강현실 저작을 위한 기하 인식 기반 정합 좌표계 보정
- 하태진, 우운택(KAIST)
- Vivaldi : 분산 이기종 시스템에서 볼륨 계산과 시각화를 위한 도메인 특정 언어
- 최형석, 최우혁, Tran Mihn Quan, 정원기(UNIST)
- 인체 폐 혈관과 기도트리의 3차원 모델링
- 심민섭, 이제욱, 박재성, 강윤구, 김명수(서울대)
2013년
- 영화시각효과 제작에서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
- 안성우, 한명희 (동서대)
- 평면 곡선의 컨벡스 헐 계산
- 장준영, 강윤구, 김명수 (서울대)
- SNS 기반 공공정보 서비스 시각화 방안 연구
- 김미연, 서동조, 최승연 (서울디지털대)
- 모래 제어 맵을 이용한 샌드 애니메이션 체험 환경
- 송기원, 이지용, 윤경현 (중앙대)
- 절차적 합성에 의한 Impact Crack의 비주얼 시뮬레이션
- 정자민, 김종현, 김창헌 (고려대)
- 웹툰에 나타난 소도구 셔레이드 분석
- 정규하, 이태구 (부산대)
- 원격 로봇 제어 가이드를 위한 햅틱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
- 김석열, 박진아 (KAIST)
- 서클체인 표현 기반의 한글 글립 변형
- 구상옥, 김형석 (건국대), 정순기 (경북대)
2012년
- 동작을 위한 생성 문법
- 현경렬 (서울대), 박종필 (삼성전자), 이제희 (서울대)
- 레벨 좌표 기반 연속적 폐 변형
- 강윤구, 김용준, 김명수, 김종효 (서울대)
- 방향성 입자를 이용한 변형 및 파괴 시뮬레이션
- 원종원, 최민규 (광운대)
- 비디오 기반 스테인드글라스 애니메이션에 관한 연구
- 온용진, 강동완, 윤경현 (중앙대)
-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 패션 피팅시스템
- 탁명자, 김치용 (동의대)
- 트위터를 이용한 상호소통 시각화의 감각적 경험
- 유미옥, 박경주 (중앙대)
2011년
- 동영상 합성 및 편집을 위한 특징점 기반 조명 및 그림자 추정
- 황규현 박상훈 (동국대)
- 그림자 텍스쳐를 이용한 효과적인 부드러운 그림자 생성 방법
- 양진석, 박선용, 오경수 (숭실대)
- 적응형 부호 거리장을 이용한 고체와 유체의 상호 작용
- 김종현, 임재호, 김창헌 (고려대)